정부에서는 정책자금을 마련해 중소기업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금은 아는 만큼 받을 수 있으니 꼭 숙지하신 뒤 챙기시길 바라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4조 5천9백억 원 규모의 2020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영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이는 1월부터 중소기업 진흥공단에서 지역본부, 지부를 통해 자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2020년 예산은 4조 5천9백 원으로 전년대비 9천2백억 원 증가했습니다.
-기업 성장단계별 특성과 정책 목적에 따라 6개 세부 자금으로 구분해 운영됩니다.
☞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한도 및 금리 알아봤습니다.
1. 정책자금 융자 한도입니다.
-기업당 융자한도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정책자금의 융자 잔액 기준 60억 원(수도권 제외 지방 소재 기업 70억)
까지입니다.
2. 정책자금 대출금리 알아봤습니다.
-기준금리(분기별 변동 기금)에 사업별 가감금리를 적용합니다.
-기업별 신용위험 등급, 담보 종류 등에 따라 금리를 차등합니다.
사업별 기준금리 등 세부사항은 사업별 정책자금 융자계획에서 규정됩니다.
시설자금 직적대출은 각 사업별 고정금리 적용 가능 하나 협동화 및 협업사업 승인 기업지원은 제외됩니다.
-기존 대출기업 마찬가지로 정책자금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대출금리가 변동(일부 자금 제외) 되며 대출금리는 정부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분기별 정책자금 기준금리는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 홈페이지에 공지되어 있으니 인터넷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방식 알아봤습니다.
-중소기업 진흥공단에서 융자 신과 접수를 하시면 융자대상으로 결정되며 결정이 되면 중소기업 진흥공단에서 직접대출 또는 금융회사(대리대출) 에서 신용 또는 담보로 대출이 됩니다.
- 그러나 보증서 담보는 재창업자금 중 신용회복위원회 재창업지원에 대해서만 취급이 가능합니다.
☞정책자금 신청방법 및 주의사항 알아봤습니다.
-신청 후 활용하려는 자금이 결정되면 정책자금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모든 정책자금은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가 소정 약식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해당 심사기준의 경험 측면에서 방향을 아신다면 이를 참고해 작성하시면 됩니다.
-현장 평가 실태조사에 과심을 기울이셔야 합니다.
-일부 정책자금은 접수된 신청 서류만 검토해 승인하게 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서류 검토 후 신청 회사의 현장을 방문해 실태조사를 하게 됩니다.
-실태조사 결과는 융자 심의 위원회 지원대상 기업 선정에 중요한 점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물론 정책자금 활용 과정에서 사후 관리에 적절하게 대배하여야 합니다.
-융자 지원금은 사후관리 기준이 까다롭지 않습니다.
-융자 지원금과 다르게 출연금으로 보조되는 정책자금은 사업기간 내내 엄격하게 관리하게 됩니다.
-정책자금을 용도 이외 목적으로 사용하면 관리 가관의 지적을 받게 되며 최악의 상황엔 지원사업이 취도 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정부출연자금 활용은 별도의 계좌를 개설해 정책자금의 출납과 관리를 투명하게 해야 합니다.
-사업용도에 맞게 집행 하셔서 불이익을 받지 말아야겠습니다.
중소기업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정책이니 미리 숙지를 제대로 하신뒤에 승인 받으셔서 모두 성공하시면 좋겠습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유형별 원천징수 방법 입니다. (0) | 2020.04.08 |
---|---|
퇴직소득세 임원의 한도 알아봤습니다. (0) | 2020.04.07 |
퇴직금 중간정산 필요서류 및 사유 알아봤습니다. (1) | 2020.04.05 |
최저임금, 주휴수당, 법정 휴게시간까지 알아봤습니다. (0) | 2020.04.03 |
주택담보대출 금리 LTV, DTI, DSR 알아보기 (0) | 2020.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