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까지 집값이 하늘 무서운 줄 모르고 치솟았다가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내 자본금 만으로 집을 사는 건 사실상 너무나 힘들기 때문에 가장 빠르게 내 집 장만을 할 수 있는 경우가 바로 주택청약 입니다. 하여 오늘은 주택청약 1순위 조건, 공공분양 및 민간분양 조건 및 가점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권이 얼마후면 바뀌는데 현재까지 나온 소식들을 보면
대폭적인 변경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중요한 건 대출 금리 및 최대한도인데 대기업에 다니는 분들은
한도가 높지만 소득이 낮은 중소기업에 다니는 경우
대출 한도가 높기 때문에 이게 맞는 건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긴 합니다.
또한 대출을 받는다고 해도 대출금리가 너무나 높기 때문에 한숨을 내쉬는 분들이 적지 않다고 합니다.
목차
1. 주택청약 시 체크 포인트
2. 민간분양 민영주택 1순위 조건
3. 공공분양 국민주택 1순위 조건
1. 주택청약 시 체크 포인트
저희 때만 해도 사회 초년생 분들 중 청약 통장에 대해 모르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청약통장을 어릴때 부터 가입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 아는 내용 일수 있습니다.
㉮ 주택청약을 위해선 청약 통장에 가입을 하셔야 하며 최소 2년 이상 납부하셔야 합니다.
㉯ 현재 본인이 특별분양 조건에 해당하는지 부터 알아보셔야 합니다.
▶ 한부모가정, 노부모부양,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기관 추천 등
▶ 위에 특별공급의 경우 경쟁율이 일반공급에 비해 쉽기 때문에
자격 조건을 확인 하시고 조건에 부합된다면 무조건 특별공급에 도전하셔야 합니다.
㉰ 청약 전 본인이 신청 하는 아파트가, 공공분양 인지 민간분양 인지 확인합니다.
▶ 두가지 분양은 1순위 조건이 다르며, 당첨자 선정 방식도 다릅니다.
아래에서 민간분양과 공공분양 1순위 조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2. 민간분양 민영주택 1순위 조건
민간분양: 민영주택
▶ 민간 기업 주택 건설사에서 주택을 건설하여 분양 합니다.
▶ 대형 건설회사에서 건설을 하기에 분양을 받은 경우 로또에 당첨된 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가격이 폭등하곤 합니다.
▶ 공공분양 국민 주택에 비해서 분양가가 높습니다.
민간분양 자격 조건
▶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로 세대주여야 합니다.
▶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해당 지역 및 인근에 거주하고 계셔야 됩니다.
▶ 납입 인정 금액이 지역별 예치금 이상이어야 합니다.
▶ 청약 통장 가입 후 2년 이상 납부 하셔야 합니다.
- 위축지역은 1개월 이상 이며, 투기 과열지구 외 지역은 1년 이상 까지입니다.
※ 과거 5년 이내 당첨된 사람의 세대에 속한 경우 신청하실수 없습니다.
지역 및 전용 면적별 예치금액(단위/만원)
면적/지역 | 서울, 부산 | 기타 시, 군 | 기타 광역시 |
85㎡ | 300 | 200 | 250 |
102㎡ | 600 | 300 | 400 |
135㎡ | 1,000 | 400 | 300 |
▶ 공고일 현재 예치금이 부족한 경우 입주자 모집 공고 당일 까지 일괄로 입금하는 경우 인정됩니다.
가점 및 추첨제
투기 과열지구 | 청약 과열지구 | |
85㎡ | 가점제 100% | 가점제 75%, 추첨제 25% |
135㎡ | 가점제 50%, 추첨제 50% | 가점제 30%, 추첨제 70% |
3. 공공분양 국민주택 1순위 조건
공공분양 국민주택은 정부 또는 LH 등에서 건설을 담당하고 있으며
국가 재정 및 주택 도시 기금을 지원받아 건설되는 85㎡ 이하의 주택(아파트)을 말합니다.
민간분양에 비해 분양가가 저렴하지만
분양 후 가격이 오름폭은 민간분양에 비해 적습니다.
민간분양 민영주택: 신청 조건
▶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2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 입주 공고일 현재 해당 지역 및 인근 지역에 거주 중에 있어야 합니다.
▶ 무주택 세대주
40㎡ 초과 주택
▶ 3년 이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 저축금액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 월 납입 금액은 최대 10만 원 까지
끝으로 오늘 알아본 주택청약 1순위 조건은 정권이 바뀌고 나서 계속해서 유지될 거란 보장은 없습니다. 즉 현재까지의 정책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100% 신뢰할만한 수준은 아닙니다. 계속해서 부동산 정책이 변경되고 있고 또 정권이 바뀌면서 폭발적으로 변경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안갯속에 놓인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씁쓸합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지원 대상 및 요건, 내용 및 신청 방법 (0) | 2022.04.22 |
---|---|
2022 연차수당 계산방법, 지급기준 및 시기 (0) | 2022.04.20 |
공공 주택 분양 1순위 조건(행복주택, 국민주택, 영구 임대주택) 가점 (0) | 2022.04.15 |
정부지원금 조회 사이트 보조금 24 사용방법 (0) | 2022.04.12 |
2022 한부모가정 자격조건 및 지원혜택, 신청방법 (0) | 2022.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