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아기 수족구 초기 증상 및 원인, 치료법, 합병증, 생활가이드

by 이포쿠 2022. 8. 3.
반응형

오늘 알아보는 수족구는 특히 영유아에게 많이 발생되는 질환으로 다른 계절보다 무더운 여름에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미열이 발생하기에 에어컨 바람을 의심하나 이후 다른 증상이 발생될 수 있으니 처음부터 빠른 조치가 필요합니다.

 

아기 수족구 원인

영유아들에게서 많이 발생되는 수족구는 콕 사기 바이러스 A16

혹은 엔테로 바이러스 71로 인해 발생되며,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됩니다. 

 

아기 수족구 초기 증상

대부분 미열을 시작으 발생되나, 열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후 손바닥, 발바닥, 손등 및 입속에 수포(물집)가 발생됩니다. 

 

아기들이 계속해서 떼를 쓰거나 우는 경우, 음식을 계속해서 거부하는 경우 

수족구를 의심해볼 필요가 입니다. 

※ 손발 등 몸 쪽만 확인하지 마시고 꼭 입안에도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순서

1. 아기 수족구 증상

2. 진단, 검사, 치료법, 경과 및 합병증

3. 아기 수족구 생활 가이드

 

수족구

 

1. 아기 수족구 증상

수족구 증상

보통 여름에 가장 많이 발생되며, 

입안 물집, 궤양, 손과 발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납니다. 

 

- 잠복기는 보통 4~6일 정도입니다. 

- 비교적 가벼운 질병으로 분류되며, 미열을 보이나, 미열이 나타나지 않기도 합니다. 

- 입속 인두는 발적 되고, 혀와 볼 점막, 후부 인두, 구개, 잇몸과 입술에 수포(물집)가 발생됩니다. 

 

- 아기 수족구 초기 증상은 아기가 밥을 먹지 않고 계속해서 떼를 쓰면 입속을 확인해 보셔야 됩니다. 

- 계속해서 음식물을 거부하는 경우 탈수 증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발진은 손 쪽에서 더 많이 발생되며, 크기는 3~7mm입니다. 

- 엉덩이 및 사타구니 부위에도 발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엉덩이에 발진은 수포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 수포는 보통 3~4일 정도면 가라앉으며, 7일 정도면 완전히 호전됩니다. 

 

※ 엔테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된 경우 콕사키 바이러스로 인한 경우보다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나며

무균성 뇌막염, 마비성 질환, 뇌염 등의 신경계 질환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2. 진단, 검사, 치료법, 경과 및 합병증

수족구 진단 및 검사

신경계에서 발생된 경우에는, 뇌척수액, 대변, 인두 분비물 등을 채취해서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바이러스 배양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를 검출해 진단됩니다. 

 

수족구 치료 방법

다행 인건 치료를 받지 않아도 일반적으로 7~10일 이후 자연스럽게 치료가 됩니다. 

* 입속 병변으로 경구 섭취가 힘든 경우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수액 치료 또는 대중 요법이 시행하게 됩니다.

 

합병증

합병증은 일반적으로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수족구 병으로 특별한 합병증이 발생되지 않으면 7일 후 수포성 발진은 자연 호전됩니다. 

 

※ 그러나 엔테로 바이러스로 인한 수족구는 발열, 두통, 목이 강직되는 증상 등이 동반되는 

무균성 뇌수막염이 발새 오딜 수 있기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지극히 드물게는 뇌간 뇌척수염, 폐출혈, 쇼크, 신경인성 폐부종 등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3. 아기 수족구 생활 가이드

생활가이드 

기저귀를 갈고 난 뒤, 또는 분변에 오염된 물건 깨끗하게 세척한 뒤 손도 깨끗하게 씻습니다. 

 

아기 수족구는 아기와의 신체 접촉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전염을 막기 위해 발병 초기에는 자택 격리조치가 필요합니다. 

 

코 또는 목의 분비물, 침, 물집에서 나오는 진물, 

감염 환자의 대변에 접촉되는 경우 혹은 사람과 사람으로 인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즉 환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막아야 하며, 

접촉을 한 경우, 흐르는 물에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끝으로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유행병처럼 찾아오는 아기 수족구 증상은 부모님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아기들은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심하게 관찰을 하는 게 너무나 당연하 조치입니다. 위에 나온 합병증 및 생활가이드도 꼭 참고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