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급제폰의 인기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자급제폰의 인기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동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휴대폰 매장이 힘들어질 수밖에 없을 겁니다. 자급제폰에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는 자유로움, 그리고 저렴함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 신제품이 출시 될때마다 각종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자급제폰 사전예약을 받곤 합니다.
사전예약 기간에는 많은 사은품, 높은 카드 할인률이 풀리기 때문에
자급제폰을 희망하는 분들의 경쟁률도 따라서 상승 됩니다.
아래에서는 자급제폰 듯 및 개통방법,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순서
1. 자급제폰 뜻
2. 자급제폰 장점 및 단점
3. 자급제폰 개통 방법
1. 자급제폰 뜻
자급제폰 뜻
흔하게 동네에서 볼수 있는 통신사를 통해 구입하면서 개통되는 폰이 아닌
개통 전인 폰을 말하는 것으로 공기계 상태를 말합니다.
휴대폰을 인터넷 등을 통해 구입한 뒤 통신사 별 지원내용 및
요금제를 비교한 뒤에 가입할 수 있는 폰을 이야기합니다.
보통 대부분의 사람들은 통신사(SKT, KT, LGU+)에서 개통을 하게 되어
요금제별 의무약정을 해서 할인을 받으면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자급제 폰은 이러한 약정이 없기 때문에 요금제 및 의무약정 기간
없이 개통 해서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보통 스마트폰을 구입하면 통신사별 앱이 설치되어 있는데
자급제 폰에는 이러한 앱도 없고 의무약정 기간도 없으며, 해지 위약금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2. 자급제폰 장점 및 단점
장점
우선 일시불로 공기계를 구입하는 형태 이기 때문에 할부금 및 약정기간이 없습니다.
보통 기존에는 통신사를 통해 개통한 폰이 그 통신사의 유심 카드만 사용해야 합니다.
자급제 폰은 구매자가 원하는 통신사가 어디든지 간에 유심을 자유롭게 바꿔서 사용 할수 있습니다.
유심칩의 변경은 갤럭시에서 아이폰으로
아이폰에서 갤럭시로 옮겨서도 사용 가능 합니다.
* 알뜰폰 요금제 사용이 가능해 집니다.
알뜰폰은 아무래도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기에 자급제폰 + 알뜰폰 요금제
조합으로 사용하는 경우 약정으로 할인 받고 사용하는 것보다 저렴해집니다.
때문에 자급제폰을 사전예약 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즉 대리점에서 가입후 사용하는 것보다 저렴하게 사용하실 수 있다는 겁니다.
단점
장점이 많지만 당연히 단점도 있습니다.
처음 구입 하실때 가격이 상당히 높다는 데 있습니다.
공기계의 가격이 보통 100만원을 훌쩍 넘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급제폰으로 구매를 하는 경우 일시불로 지불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전예약시 카드 할부 할인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단점 아닌 단점이긴 합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무이자 카드 할부의 경우 6월~12개월 정도가 최장기 이기 때문에
기존 통신사의 2~3년 약정에 비하면 초기비용이 부담으로 다가오긴 합니다.
통신사 가입시 알아서 개통을 해주는 것과는 다르게
공기계 폰은 본인이 스스로 방법을 알아내서 해야 하며
데이터 등도 본인이 알아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합니다.
3. 자급제폰 개통 방법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공기계는 통신사 가입 의무 및 요금제 가입 의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급제폰이 있다면 어떠한 통신사에 어떠한 요금제가 있는지 선택이 첫 번째입니다.
3개 통신사 이든 알뜰요금제 통신사든
본인의 통화량 및 데이터 사용량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신뒤에 유심을 구입하셔야 합니다.
유심 자체에 요금제가 정해져 있음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유심을 구입 하시던지 아니면 편의점에서 구입해서 개통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폰이 있고 기기변경만 하는 경우
사용 중인 폰에서 유심카드를 빼낸 뒤 새 폰에 옮기기만 하면 개통이 바로 되는 겁니다.
오늘은 이렇게 자급제폰 개통방법 및 뜻, 장점 단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저는 현재 자급제 폰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점이 더 많은 걸 알고 있습니다. 요금도 절약이 되지만 가장 좋은 건 통신사별로 깔려있는 앱이 없기 때문에 이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지금 통신사에서 개통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게 뭐 큰 거라과 생각하실 수 있지만 생각보다 이게 정말 좋은 점입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신청 조건 및 신청 기간 (0) | 2022.05.06 |
---|---|
2022 전기차 보조금 국비 및 지자체 기준 (0) | 2022.05.02 |
숨은 보험금 찾기, 내보험 찾아줌 조회 하기 (0) | 2022.04.28 |
청년형 소득공제 가입펀드 가입 조건 및 가입 방법, 장점 및 단점 (0) | 2022.04.27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자격요건 및 금액 계산방법 혜택 (0) | 2022.04.26 |
댓글